전체 글
-
훈육의 오해와 진실전문성 있는 보육 2025. 8. 8. 06:52
‘훈육=혼내기?’ 오해 깨기훈육은 혼내기 아닌, 가르치고 기르는 것입니다.많은 부모 훈육이라 하면 자동으로 ‘혼내기’부터 떠올리기 쉽습니다.하지만 ‘훈육(訓育)’의 본래 의미는 이렇습니다—‘가르치고 기른다’는 것. 즉, 아이가 스스로 행동을 바로잡고 성장할 수 있도록 손잡아주는 과정이에요. 아이에게 되는 것과 되지 않는 것을 친절하게 반복하여 가르치는 것을 이야기 합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다칠 수 있는 행동을 했을 때 “위험하니 조심하자”라고 조용히 설명하는 것과 같은 방식은, ‘혼내기’와는 전혀 다른 차원의 접근입니다. 아이가 두려움이나 수치심에 눌리는 게 아닌, “아, 이런 상황에서는 조심해야 하는구나”라는 이해를 스스로 가질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진짜 훈육입니다. 긴 설명보다는 낮고 단호한 목소..
-
영유아 자녀의 좋은 성품을 길러주는 대화법전문성 있는 보육 2025. 8. 7. 23:54
‘공감 표현 언어’로 정직함 심어주기아이에게 정직한 마음을 키워주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공감이 담긴 언어입니다. 아이가 실수하거나 잘못했을 때, 다그치거나 추궁하는 대신 감정을 먼저 이해해 주는 말이 필요해요. 예를 들어 아이가 컵을 실수로 깨뜨렸을 때, “이거 왜 그랬어?”라고 묻기보다는, “놀다가 깜짝 놀랐겠구나, 괜찮아?”라고 말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는 부모가 자신을 믿고 있다는 신호를 받고, 마음을 열 수 있게 됩니다. 정직은 믿음 위에 자랍니다. 부모가 아이의 솔직한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주면, 아이는 잘못을 감추려 하지 않게 돼요. “엄마, 내가 밀었어”라고 말할 수 있는 용기는 ‘혼나지 않겠지?’라는 확신에서 생깁니다. 이런 상황에서 “솔직하게 말해줘서 고마워. 엄마는 네가 진실을..
-
어린이집 적응을 위한 현실적인 방법 4가지전문성 있는 보육 2025. 8. 7. 22:03
초기 적응 의식으로 아이에게 안정감 주기처음 어린이집에 보내는 날, 부모 마음은 누구보다 복잡합니다. 하지만 그보다 더 낯설고 불안한 건 바로 아이일 거예요. 이럴 때 가장 필요한 건 매일 반복되는 ‘적응 의식’을 만들어주는 겁니다. 예를 들면, 아침에 일어나서 간단한 스트레칭을 같이하고, 어린이집 가기 전에 짧은 동요 한 곡을 듣는 거예요. 이런 반복적인 루틴은 아이에게 ‘이제 어린이집 갈 시간’이라는 신호가 되고, 예측할 수 있는 하루의 시작을 만들어줘요. 아이에게 갑작스럽고 예측 불가능한 변화는 불안을 유발할 수 있어요. 하지만 정해진 순서대로 움직이는 경험이 쌓이면, 아이는 ‘나는 알 수 있는 환경 안에 있다’는 안도감을 느끼게 됩니다. 이런 감정은 어린이집에서의 낯선 상황에도 잘 적응할 수 있게..
-
어린이집 이용 에티켓전문성 있는 보육 2025. 8. 6. 22:56
어린이집 복장 규칙 에티켓어린이집 복장 규칙 에티켓은 부모와 아이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일관된 기준을 만들기 위한 중요한 요소입니다. 첫째, 아이 등원 시에는 운동화, 면바지, 통학용 외투 등 활동성 높은 옷차림을 권장하며, 공식 단체복이 있는 경우 착용 지침을 반드시 준수해야 합니다. 특히 슬리퍼나 샌들처럼 쉽게 벗겨지는 신발은 피하고,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발을 보호하는 신발을 선택하면 안심할 수 있습니다. 가방이나 신입 통학 용품도 과도하게 무겁거나 크지 않게 하여 아이가 스스로 들고 다닐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둘째, 교실 내부에서는 모자 착용 금지, 외투 실내 보관, 교실 앞 신발장 정리 등 내부 룰을 부모가 먼저 숙지하고, 아이에게도 자연스럽게 안내해야 합니다. 복장 아니라 이..
-
어린이집 이용 꿀 팁전문성 있는 보육 2025. 8. 6. 21:18
어린이집 통학 편리 팁어린이집 통학 편리 팁으로 부모님이 출퇴근 시간과 병행하여 자녀를 안심하고 맡길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첫째, 어린이집 위치는 가능하면 역이나 버스 정류장과 인접한 곳, 또는 회사와 집 사이 동선에 있는 곳이 좋습니다. 통학 경로가 복잡하거나 주차 불편한 곳보다는 도보 또는 대중교통으로 10분 이내 거리의 어린이집을 선택하면 매일 통학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습니다. 둘째, 차량 통학 시 어린이승합차와 일반 셔틀 서비스의 이용 조건과 보험·안전장치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셔틀 이용자가 적은 경우 합승 운행 시 보험 가입 여부, 안전벨트 착용 기준, 운전사 자격증 등을 확인하면 사고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셔틀 대신 편도 카풀이나 도보 동반 통학 그룹이 있는 어린이집은 어떤지..